1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양자역학 |
GR00856 |
3.0
고급양자역학
전체
전체
양자 방사이론, 상대론적 양자역학과 상대론적 섭동이론등을 다룸으로써 이론물리의 기초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특론1 |
GR01017 |
3.0
고에너지물리특론1
전체
전체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고에너지물리 제반사항을 다룬다.
|
3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특론2 |
GR01018 |
3.0
고에너지물리특론2
전체
전체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고에너지물리 제반사항을 다룬다.
|
4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학1 |
GR01022 |
3.0
고에너지물리학1
전체
전체
원자보다 더 작은 원자핵의 구성성분으로 알려진 각종 소립자들의 성질과 상호작용 및 제반 물리현상을 알아본다. 고에너지 물리학 I에서는 가속기의 구조 및 특성, 입자 검출방법, 소립자의 구조와 종류 및 특성, 보존법칙과 대칭성, 하전 스핀과 각운동량등에 대하여 주로 다룬다. 또 소립자들의 근본 상호작용인 전자기 상호작용, 약한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과 quark모델등에 대하여 주로 다룬다.
|
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학2 |
GR01023 |
3.0
고에너지물리학2
전체
전체
상대론적 양자역학과 Electrodynamics, 군론의 기본과정을 먼저 살펴보고, 이것을 배경으로 하여 양자장론과 함께 quark와 lepton이론을 배우고 그들의 상호작용인 Standard model에 대하여 주로 다룬다.
|
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전역학1 |
GR01049 |
3.0
고전역학1
전체
전체
구조적으로 완성된 물리분야인 고전역학을 그 핵심원리인 Galileo의 상대성 원리와 Principle of least action으로부터 출발하여 다룬다. Newtonian 역학체계는 이로부터 자연스럽게 유도되며 주요한 관심대상인 Two-body central force, scattering, small oscillation, rigid body problem 그리고 classical perturbation 이론등의 topic들을 세부적으로 공부한다.
|
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전역학2 |
GR01050 |
3.0
고전역학2
전체
전체
고급과정으로서 이 과목은 advanced formulation을 통해 현대 양자론의 기반을 제공한 technique of action angle variable, Hamilton-Jacobi theory, Poisson bracket 그리고 canonical transformation등을 공부한다.
|
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전전자기학2 |
GR01052 |
3.0
고전전자기학2
전체
전체
전자기파 방사, 산란 및 회절, 전자기장의 상대성 이론, 상대론적 하전입자의 전자기 동역학, 다중극자의 방사문제, 전하입자간의 충돌, 에너지 손실 및 하전입자의 산란과 하전입자의 운동에 의한 방사, 그리고 방사의 Damping등의 고전전자기 이론의 동역학적인 문제들의 고급 해석이 주로 다루어 진다.
|
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전전자기학1 |
GR01062 |
3.0
고전전자기학1
전체
전체
정전기 및 자기장의 경계치문제, 다중극자, 물질내의 정전기장, 정자기장 이론, 맥스웰이론, 전자기장의 보존법칙, 전가기파의 전파등의 기본적 전자기 이론의 고전적인 고급해석이 주로 다루어 진다.
|
10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1 |
GR01073 |
3.0
고체물리1
전체
전체
통계물리학과 양자역학에 어느정도 익숙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체에 관련된 광범위한 물리 현상들을 관측사실의 설명과 함께 이론적 기술을 소개하고, 고체의 격자구조, 전도전자에 관한 고전적 이론, 에너지띠 이론, 전도 전자에 의한 수송현상, 표면효과 등을 다룬다
|
11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2 |
GR01074 |
3.0
고체물리2
전체
전체
고체내의 격자구조의 dynamics에 따른 결과로 Pho- non을 기술하고 전자와 Phonon사이의 상호 작용을 다루게 됨으로써 고체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게된다. 그에 따라 고체내의 광학적 성질, 열역학 성질, 절연체의 유전체적 성질, defects, magnetism, 반도체, 상전이, 초전도체 등을 다룬다.
|
1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실험1 |
GR01080 |
3.0
고체물리실험1
전체
전체
고체물성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기술적인 조작법을 습득한다. 이를 위하여 제반 측정기기의 원리와 기능을 공부하고 이들 기기의 활용방법을 연구한다.
|
13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실험2 |
GR01081 |
3.0
고체물리실험2
전체
전체
고체물성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을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기술적인 조작법을 습득한다. 이를 위하여 제반 측정기기의 원리와 기능을 공부하고 이들 기기의 활용방법을 연구한다.
|
14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특론1 |
GR01088 |
3.0
고체물리특론1
전체
전체
이 과목은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에서 고체 물리학을 전공하는 교수의 연구관심에 따라 그 세부내용이 결정되며, 같은 분야에 관심이 있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강의이다.
|
15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물리특론2 |
GR01089 |
3.0
고체물리특론2
전체
전체
이 과목은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에서 고체 물리학을 전공하는 교수의 연구관심에 따라 그 세부내용이 결정되며, 같은 분야에 관심이 있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강의이다.
|
1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양자론1 |
GR01108 |
3.0
고체양자론1
전체
전체
많은 수의 원자들이 모여 이루고 있는 다체계로서의 고체현상을 양자론을 통해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고급과목이다. 고체를 기술하는 Hamiltonian을 설정하고 many body Schrodinger equation을 single-electron approximation등의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풀고 결과적으로 고체의 에너지구조 특히 ground state을 결정하는데 주된 관심을 둔다.
|
1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체양자론2 |
GR01109 |
3.0
고체양자론2
전체
전체
고체상태의 집합적이고 총체적인 물리성질을 기술하는 phonon, exciton, plasmon, magnon, polaron, polarition, quasi-particle등의 고체내의 elementary excitation에 관해 다룬다. 이러한 개념들과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양자장론을 통해 체계적으로 설명되고 각각을 기술하는 물리적 model이 다루어 진다.
|
18 |
전체 |
전체 |
전공 |
광학설계론 |
GR01335 |
3.0
광학설계론
전체
전체
Gaussian 광학과 광선 추적법을 주로 사용하여 현미경 광학계, 망원경 광학계, 반사 광학계, eyepiece 광학계, 광원 광학계, 사진기 광학계 설계를 주로 다룬다.
|
19 |
전체 |
전체 |
전공 |
광학특론2 |
GR01342 |
3.0
광학특론2
전체
전체
레이져광학, 양자광학, 광통신, Photonics 분야의 최신 주제에 관하여 발표 및 토의 방식으로 논의한다. Quantum eraser, Laser spectroscopy, laser plasma, ultrashort pulse generation, optical chaos, optical bistability, fiber optics 등을 소개하고, 관련 분야에서 선택한 주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
20 |
전체 |
전체 |
전공 |
광학특론1 |
GR01343 |
3.0
광학특론1
전체
전체
비선형 광학에 대하여 강의하고, 관련 주제에 관하여 발표 및 토의 방식으로 논의한다. Nonlinear Optical Susceptibility, 비선형매질에서의 전파에 관하여 주로 강의하고, 비선형 광변조, Multiple wave mixing, Sti- mulated light scattering, two-photon absorption, Optical phase conjugation 등의 분야에서 선택한 주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
21 |
전체 |
전체 |
전공 |
분광학 |
GR03454 |
3.0
분광학
전체
전체
한 시료의 분자, 원자 또는 이온이 하나의 허용된 에너지상태에서 다른 에너지 상태로 이동할 때 흡수 또는 방출되는 전자기 복사를 측정하고 해석하여 얻은 결과로부터 분자의 크기, 모양과 구조등을 이해하게 한다.
|
22 |
전체 |
전체 |
전공 |
양자광학1 |
GR05562 |
3.0
양자광학1
전체
전체
빛을 양자역학적으로 다루어야만 해석이 가능한 현상들을 강의한다. 먼저 전자기파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빛의 여러 가지 상태와 성질을 강의한다. Coherent state의 특성, 밀도연산자를 이용한 빛과 원자와의 상호작용, 광자 분포함수의 특성, 레이저빛의 광자수 분포특성과 간단한 비선형 현상들을 강의한다.
|
23 |
전체 |
전체 |
전공 |
양자역학1 |
GR05569 |
3.0
양자역학1
전체
전체
양자역학의 기본식인 Schrodinger방정식을 간단한 포텐셜에 대해 풀어 그 기본 개념과 파동 함수의 수학적 구조에 대해 강의하고 조화 진동자에 대해 Schro- dinger방정식과 Heisenberg방정식을 풀고 연산자 방법으로 다룸. 다체계와 3차원 포텐셜의 이해를 구하고 전자기장 안에서의 전자의 운동을 다룸.
|
24 |
전체 |
전체 |
전공 |
양자역학2 |
GR05570 |
3.0
양자역학2
전체
전체
각 운동량과 스핀에 대해서 다루고 행렬표현을 강의함. 섭동이론을 통하여 실제 수소원자에 대한 양자역학적인 이해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자와 분자구조를 이해함. 전자기파와 전자의 상호 작용을 시간의존성 섭동이론으로 다루고 충돌이론에 대해 강의함.
|
25 |
전체 |
전체 |
전공 |
응용광학1 |
GR05936 |
3.0
응용광학1
전체
전체
Gaussian 광학, 광선추적법, Hamilton 광학, 기본결상 광학계, 파면공학, Seidel Image error 이론, stop 및 pupil 이론, 광학계 수차 해석, 기본 광학계 등의 광학이론의 고급 해석이 주로 다루어진다.
|
26 |
전체 |
전체 |
전공 |
응용광학2 |
GR06340 |
3.0
응용광학2
전체
전체
편광을 고려한 고전적 파동이론을 도입하여 공명기 및 도파로에서의 광모우드 이론을 논의한다. 광복사에 대한 준고전적 이론을 도입하고 기초적인 원자 및 분자 분광학과 비선형광학을 강의한다. 레이저 발진 이론과 레이저공진기 이론을 각각 강의하고 특수한 레이저동작에 관하여 강의한다.
|
27 |
전체 |
전체 |
전공 |
집적광학1 |
GR07883 |
3.0
집적광학1
전체
전체
집적광학의 기본 개념과 광통신회로의 그 응용을 논하고, 그 기본 구조의 공도파로 원리, 형태, 기능 등을 공부한다.
|
28 |
전체 |
전체 |
전공 |
통계역학1 |
GR08449 |
3.0
통계역학1
전체
전체
많은 수의 입자로 구성되거나 자유도가 많은 물리계의 거시적 물리성질을 미시적 역학상태로부터 도출해내는 방법론을 강의하는데 특히 평형통계이론에 중점을 둔다. 먼저 열역학의 제반법칙과 그 응용이 다루어지고 양자 및 고전적 개스에 관한 평형 ensemble 이론을 세운다. 해석적으로 풀 수 있는 모델에 대해 이론을 적용하는 연습을 하고 상호작용이 있는 현실적인 물리계도 어느 정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9 |
전체 |
전체 |
전공 |
통계역학2 |
GR08451 |
3.0
통계역학2
전체
전체
거시적 물리상태가 시간과 공간에 대해 균일하지 않은 비평형상태의 물리계를 이론적으로 다루는 방법론을 강의한다. 평형상태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체계를 다루는 Linear Response Theory를 강의하고, Correlation Function 및 Fluctuation Dissipation Theo- rem포함, 최종적으로는 일반적인 비평형물리계를 기술하는 Kinetic Theory와 Hydrodynamics를 고전적 및 양자적 Liouville Equation으로부터 유도해낸다.
|
30 |
전체 |
전체 |
전공 |
표면물리학 |
GR08634 |
3.0
표면물리학
전체
전체
고체표면에서의 물리적현상을 강의하며 강의의 중요한 내용은 다음의 4분야로 구성되어있다. 1) 청결고체표면의 구조, 열역학, 이동도 2) 고체표면에서의 기체분자의 상호작용, 즉 평형상태에서 기체분자의 물리적 거동과 분자빔의 형성 및 표면에서의 상호작용 3) 표면과 에너지입자의 사호작용 및 표면분석 방법 4) 결정성장과 결정핵 생성.
|
31 |
전체 |
전체 |
전공 |
핵물리2 |
GR09066 |
3.0
핵물리2
전체
전체
Indepent pair model, α-cluster model, β-decay, 핵의 size와 form factor.
|
32 |
전체 |
전체 |
전공 |
핵물리특론2 |
GR09070 |
3.0
핵물리특론2
전체
전체
핵물리학에서 새로운 분야를 취급하며 그 내용은 수시로 변함.
|
33 |
전체 |
전체 |
전공 |
회절결상이론 |
GR09638 |
3.0
회절결상이론
전체
전체
Aberration function, Strehl ratio 및 Optical transfer function에 의한 광학계의 평가방법, 구경진폭 분포함수의 Auto-correlation, 비선형 결상계 및 Coherent imaging system과 OTF을 이용한 광학계 평가의 실험적 방법을 다룬다.
|
34 |
전체 |
전체 |
전공 |
핵물리특론1 |
GR14404 |
3.0
핵물리특론1
전체
전체
핵물리학에서 새로운 분야를 취급하며 그 내용은 수시로 변함
|
35 |
전체 |
전체 |
전공 |
집적광학2 |
GR14406 |
3.0
집적광학2
전체
전체
광도파로의 설계이론, 제작공정 등을 공부하고, 광도파로를 제작하여 도파모드 및 손실을 측정한다
|
36 |
전체 |
전체 |
전공 |
다체론 |
GR15287 |
3.0
다체론
전체
전체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다체계의 동력학적 과정을 기술하는 제반 고급이론을 강의한다.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물리계에 따라 여러 상호보완적인 이론들이 강의되는데 이에는 고전 유체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Cluster Expansion 및 Density Expansion, 고체현상과 같은 양자계에 관해 유용하게 적용되는 Zero- temperature 및 Finite-temperature Green's Function Formalism, 그리고 액체 및 강하게 coupled된 plasma계에 대해 Projection Operator Technique, Continued Fraction Representations of Correlation Function, sto- chastic von-Neumann equation등이 포함된다.
|
37 |
전체 |
전체 |
전공 |
상대론 |
GR15290 |
3.0
상대론
전체
전체
상대론적 속도를 만들 수 있는 입자 가속기 등의 발달과 함께 미시세계에 근본적이고 반드시 필요한 시간, 공간 및 질량에 대한 상대론적 개념과 이론을 다룬다.
|
38 |
전체 |
전체 |
전공 |
양자광학2 |
GR15292 |
3.0
양자광학2
전체
전체
빛의 양자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 주제들을 취급한다. 양자역학적으로 빛을 본격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기본적인 계산을 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Dressed States나 Jaynes-Cummings Model 등 양자화된 빛과 원자간의 상호작용, Fokker-Plank Equation, Lang- evin Equation 등을 이용한 빛의 양자역학적 잡음특성 및 Squeezed State 등을 강의한다.
|
39 |
전체 |
전체 |
전공 |
우주선물리학 |
GR15294 |
3.0
우주선물리학
전체
전체
입자 가속기의 한계에 의해서 얻을 수 없는 고에너지 영역의 물리학으로서 높은 에너지(-Tev)의 우주선 입사 입자에 의해 입자간 상호작용과 이론에 대하여 주로 다룬다.
|
40 |
전체 |
전체 |
전공 |
이온빔물리 |
GR15297 |
3.0
이온빔물리
전체
전체
이온빔과 고체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강의하며 이원충돌(binary collision)모형, 연쇄충돌(collision cas- cade)과 thermal spike효과, sputtering현상, 이온의 도달거리, 이온빔 조사 손상(radiation damage), 이온빔 조사시의 원자수송현상 등 기초이론적인 내용과 이온빔의 응용방법을 함께 다룬다.
|
41 |
전체 |
전체 |
전공 |
핵물리1 |
GR15308 |
3.0
핵물리1
전체
전체
핵력과 Potential, deuteron문제, 산란에 관한 일반론, 핵구조에 관한 일반론.
|
4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학실험1 |
GR16386 |
3.0
고에너지물리학실험1
전체
전체
고에너지 물리학실험에 적용되는 필수적인 기본이론과 실험방법 등을 소개하고, 고에너지 입자가속기의 기본이론과 각종 입자검출기들의 특성 및 실험방법들을 다룬다. 특히 거대한 가속기와 검출기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통계처리 및 분석방법들을 배우고 직접 소립자들의 상호작용이론에 적용시켜본다.
|
43 |
전체 |
전체 |
전공 |
고에너지물리학실험2 |
GR16387 |
3.0
고에너지물리학실험2
전체
전체
최근 진행되고 있는 각종 대형그룹들의 고에너지 가속기 실험들을 소개한다. 또한 고급실험으로서 각종 입자검출기들의 실험데이터의 초고속 통계처리,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소립자 반응들을 이해시키고 주지시킨다.
|
44 |
전체 |
전체 |
전공 |
응용광학실험1 |
GR16388 |
3.0
응용광학실험1
전체
전체
광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기하광학, 파동광학, 푸리에광학, 레이저광학, 및 도파광학과 관련한 기초실험을 통하여 응용광학의 이해와 연구실험의 기초를 습득시킨다. 광학분야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광학측정기기들과 연구기기들의 동작원리, 조작법, 및 활용을 가르친다.
|
45 |
전체 |
전체 |
전공 |
응용광학실험2 |
GR16389 |
3.0
응용광학실험2
전체
전체
광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기하광학, 파동광학, 푸리에광학, 레이저광학, 및 도파광학과 관련한 기초실험을 통하여 응용광학의 이해와 연구실험의 기초를 습득시킨다. 광학분야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광학측정기기들과 연구기기들의 동작원리, 조작법, 및 활용을 가르친다
|
46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1 |
GR20923 |
3.0
고급물리특강1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47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2 |
GR20924 |
3.0
고급물리특강2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4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3 |
GR20925 |
3.0
고급물리특강3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4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4 |
GR20926 |
3.0
고급물리특강4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50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반도체물리 |
GR23424 |
3.0
고급반도체물리
전체
전체
반도체는 고제물리의 주된 연구대상 중의 하나로, 전자회로 및 광소자에 응용되어 기술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자지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의 이해를 위한 밴드이론과 전자, 전공의 전송 및 광특성, 반토체로 구현된 다양한 소자의 동작원리를 학습한다.
|
51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1 |
GR23476 |
3.0
연구연수1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2개월 이상~3개월 미만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52 |
전체 |
전체 |
연구2 |
연구연수2 |
GR23477 |
6.0
연구연수2
전체
전체
학기 중 대학원생이 외부기관(국내 또는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의 연수 프로그램 등에 3개월 이상 참여하여 해당기관에서 연구와 관련한 제반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자료를 제출하면 학점으로 인정
|
53 |
전체 |
전체 |
전공 |
통계물리학특론1 |
GR23820 |
3.0
통계물리학특론1
전체
전체
이 과목은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에서 평형·비평형 통계물리학을 전공하는 교수의 연구관심에 따라 그 세부내용이 결정되며, 같은 분야에 관심이 있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강의이다.
|
54 |
전체 |
전체 |
전공 |
통계물리학특론2 |
GR23821 |
3.0
통계물리학특론2
전체
전체
이 과목은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에서 평형·비평형 통계물리학을 전공하는 교수의 연구관심에 따라 그 세부내용이 결정되며, 같은 분야에 관심이 있어 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한 강의이다.
|
55 |
전체 |
전체 |
전공 |
자성체물리학 |
GR30353 |
3.0
자성체물리학
전체
전체
본 강의에서는 자성체의 기본을 다루며 개론수준으로 시작한다. 자기장의 적용에 대한 응답으로 고체에서 자기모멘트의 본질과 다른 형태의 자기적 배열이 다양한 상호작용이 제시되고 많은 사례들이 다루어진다.
결정성의 전기장 효과는 중요 역할을 하는데 있어서 물질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수준으로 다룬다.
자기적 비등방성 자기결정체, 자기적열량 효과와 자성체와 그들의 특성은 수 많은 응용에 있어서 유용하므로 특별한 주목이 요구된다.
|
56 |
전체 |
전체 |
전공 |
중시계물리학 |
GR30354 |
3.0
중시계물리학
전체
전체
중시계 물리학은 수 마이크로미터보다는 크고 나노미터보다는 큰 물리 구조를 다룬다. 이 크기 범위는 미시세계와 전기적, 역학적 장치가 다루어지는 매우 흥미로운 새로운 연구 분야의 단계이다. 이 분야는 자주 공학에서 작은 전자 소자가 양자물리학의 확고한 이해를 요구하면서 물리와 공학 분야를 넘나든다. 이 수업에서 전자 소자와 중시계는 물론 반도체 소자, 응집물리 등에 기반을 두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57 |
전체 |
전체 |
전공 |
양자정보학개론 |
GR30355 |
3.0
양자정보학개론
전체
전체
양자정보학은 정보의 전달, 저장 등 정보에 관한 모든 처리를 양자역학의 원리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양자암호화, 양자텔레포테이션, 양자얽힘, 양자전산 등 양자정보의 전달과 처리에 관련된 다양한 양자광학적인 주제를 다룬다.
|
58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Ⅴ |
GR30356 |
3.0
고급물리특강Ⅴ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59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물리특강Ⅵ |
GR30357 |
3.0
고급물리특강Ⅵ
전체
전체
물리학 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의
|
60 |
전체 |
전체 |
전공 |
레이저물리학1 |
GR30495 |
3.0
레이저물리학1
전체
전체
레이저물리학에서는 레이저 발진기와 레이저 증폭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원리, 이론 등을 강의하며 더 나아가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반도체광원인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LED (light-emitting diode)에 대한 구동 원리, 소자 설계, 전산모사, 실험 제작 및 특성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기본 지식들을 배우게 된다. 특히 강의실을 벗어나 기 구축된 국가 인프라를 활용하여 직접 소자들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현장 실습형 강의를 추구한다. 이를 통한 지역 광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배출하고 졸업 후 별도의 training없이 바로 현장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을 목표로 한다.
|
61 |
전체 |
전체 |
전공 |
레이저물리학2 |
GR30496 |
3.0
레이저물리학2
전체
전체
레이저"란 레이저 개척자 인 고든 굴드 (Gordon Gould)가 1957 년에 창안 한 "방사선의 자극 방출에 의한 광 증폭 (Light Amplification by Radiation)"의 약자입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발진기를 의미하지만, 때로는 레이저 증폭기가있는 장치도 포함합니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반도체광원인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및 LED (light-emitting diode)에 대한 구동 원리, 소자 설계, 전산모사, 실험 제작 및 특성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며 실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기본 지식들을 배우게 된다. 특히 강의실을 벗어나 기 구축된 국가 인프라를 활용하여 직접 소자들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현장 실습형 강의를 추구한다. 이를 통한 지역 광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배출하고 졸업 후 별도의 training없이 바로 현장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을 목표로 한다.
|
62 |
전체 |
전체 |
전공 |
고급광전자현장실습 |
GR31004 |
3.0
고급광전자현장실습
전체
전체
본 교과목은 학교 수업을 통해 소정의 이론교육과정을 이수한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 실습 및 체험을 통해 현장의 실무경험을 겸비한 고급인력을 양성 배출코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본 교과목은 동.하계 방학중에 계절 학기제로 실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