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819073

6/2 물리콜로퀴엄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표면 의존적 안정성

작성일
2022.05.27
수정일
2022.05.27
작성자
물리학과
조회수
149


물리colloquium



 

󰏟주제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표면 의존적 안정성

 

󰏟발 표 요 약 :

 

최근 태양전지와 발광 다이오드를 비롯한 다양한 응용소자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반도체 재료가 각광을 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명칭은 1839년 러시아에서 발견된 CaTiO3 광물을 발견한 광물학자인 L. A. Perovski의 이름에서 유래 하였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란 고체 결정 구조가 CaTiO3 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물질을 일컬으며, 일반적으로 ABX3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그림 1a 참조). 여기에서, AB는 양이온, X는 이들과 결합하고 있는 음이온이다. 현재까지 연구된 대부분의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주로 ABO3의 산화물이 었다. 이러한 산화물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강유전 및 초전도 현상 등과 같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1994년 이후로, 2차원 구조의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전도성 제어가 비교적 자유롭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대한 연구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2차원의 층상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태양전지를 비롯하여, 발광다이오드,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해 금속-할라이드 복합 페로브스카이트에 관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지고 있고, 이러한 금속-할라이드 복합 페로브스카이트의 밴드갭이 가시광선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광 소자에 응용되어 지고 있다. -중략- CsPbBr3 페로브스카이트 재료의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110)면의 성장을 억제하는 합성 방법을 개발하였고, 안정성이 증대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연 사 : 송정훈 교수 (목포대학교 반도체응용물리학과)

󰏠 일 시 : 2022602(목요일) 오후 430

󰏢 장 소 : 자연대 4호관 215(세미나실)


 

입자-광자 초정밀 측정 고급인력양성사업


전 남 대 학 교 물 리 학 과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